FAQ

Board

의성군 고운사를 방문, 산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test
조회 6 작성일 25-03-25 22:09

본문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25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를 방문, 산불 확산에 대비해 방염포를 씌운 ‘석조여래좌상’을 확인하고 있다.


인근 마을로 대피한 것으로 파악됐다.


비안면 화장산 중턱 만장사는 경상북도 시도유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장사석조여래좌상'이 있는 곳이다.


앞서 의성군이 이날 오후 3시9분쯤 주민을 대상으로 "비안면 자락리, 산제1리 주민과 등산객은 비안만세센터로.


황실과 불교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찰 건축물인 보물 연수전 등도 불에 탄 것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보물 '의성 고운사석조여래좌상'은 안동청소년문화센터로 급히 옮겨졌다.


https://ddims.co.kr/


고운사 측은 당초석조여래좌상을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기려 했으나, 산불로 길이.


고운사 측은 당초석조여래좌상을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기려 했지만, 산불로 길이 막히면서.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


신라 문무왕 원년(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 사찰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로, 보물로 지정된석조여래좌상과 약사전, 가운루, 삼층석탑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산불 피해를 우려한 국가유산청과 고운사 측은 전날(24.


명부전·금강문·가운루·적묵당·우화루·동별실·서별실·금당·회운당·고운대암·고금당 등의 건물이 있다.


고운사석조여래좌상[국가유산포털 제공.


1) =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25일 경상북도 소재 의성 고운사를 방문해 산불 확산에 대비하여 방염포를 씌운 ‘의성 고운사석조여래좌상’을 확인하고 있다.


원년인 서기 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경북을 대표하는 유서 깊은 불교 성지다.


특히 이곳에는 보물 제246호로 지정된석조여래좌상을 비롯해 다수의 불상과 불화, 고서 등이 보관돼 있었다.


국가유산청은 화재 확산 전부터 고운사 내 주요 문화재에 대한.